반응형
메신저 피싱 & AI 음성사기 구별법 🔊🤖
지인 사칭 메시지 + 합성 음성까지 등장! 10초 확인 루틴과 안전어(코드워드)로 막아내고, 만약 당했다면 30분 복구 플랜으로 회복하세요.
10초 확인 루틴(즉시)
- 앱 내 통화/영상 먼저 시도(거절·지연 시 의심 ↑).
- 역전화: 내 연락처에 저장된 번호로 직접 전화.
- 안전어(코드워드) 질문: “우리 비상 단어는?”
가족·팀별로 안전어 1개를 정해두면, 합성 음성·채팅 사기도 대부분 걸러집니다.
의심 패턴 7
- “휴대폰 고장/액정 파손이라 카톡만 가능”
- “급히 돈 필요, 인증번호 대신 받아줘/보내줘”
- “링크로 로그인하면 확인 가능”
- 계좌·기프트카드·쿠폰 코드 요구
- 직급·가족관계 강조, 시간 압박
- 음성이 살짝 메마르고 일정하게 들림(합성 의심)
- 프로필 사진·닉네임은 맞지만 과거 톤과 다름
인증번호·로그인 캡처 요구는 99% 사기입니다. 절대 제공 금지.
안전어(코드워드) 만드는 법
- 일상 대화에 잘 안 나오는 단어(예: “바나나우산”).
- 가족/팀 메신저 대화방 상단 공지로 고정.
- 분기마다 변경, 오래된 단어는 폐기.
대화 예시 & 대응
“휴대폰이 망가져서 돈 좀 급해. 인증번호만 대신 받아줘.”
- 대응: “영상통화 가능해?” → 거절 시 의심 확정.
- 대응: “우리 안전어 뭐였지?” → 틀리면 즉시 차단/신고.
모바일 보안 설정(안드/아이폰 공통)
- 메신저: 링크 미리보기 끄기, 모르는 사용자 메시지 제한.
- 계정: 2단계 인증(앱·생체) 활성화, 비밀번호 관리자 사용.
- 앱: 출처 불명 앱 설치 금지, 알 수 없는 권한 “허용 안 함”.
- 금융/결제앱: 바로가기 아이콘으로만 열기(링크 진입 금지).
당했을 수 있다면(초동 30분 복구)
- 대화/알림 증거 보존 스크린샷.
- 은행·카드 결제 잠금, 비밀번호 전면 변경.
- 포털·이메일 모든 세션 종료 후 비밀번호 교체.
- 관계기관·서비스에 신고 및 이의제기(사건번호 확보).
OTP·문자인증이 이미 새 기기로 넘어갔다면, 통신사 회선 점검(USIM/eSIM)부터 병행하세요.
FAQ
영상통화도 합성 가능하나요?
가능하지만 즉시·양방향 대화 품질로는 아직 어색함이 남습니다. 역전화 + 안전어 조합이 가장 확실합니다.
회사 메신저에서도 통하나요?
예. 팀 단위로 안전어를 설정하고, 결재·계좌 요청은 반드시 2채널 확인(전화/영상)로 바꾸세요.
반응형